본문 바로가기
청년정책

혜택많은 청년정책 10가지!!

by 기업을 읽는 사람 2020. 9. 8.
728x90
반응형

혜택많은 청년정책 10가지!!

#1. 청년내일채움공제

  • 지원금개요: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이 2년 간 총 300만원을 내면 기업가 정부가 돈을 모아 1,600만원을 주는 정책
  • 자격요건: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만 15 ~ 34세 청년 누구나 가능(이 외에 제약조건 없음)
  • 지원혜택: 2년 간 총 300만원 분납하면 1,600만원을 받음

#2. 희망두배 청년통장

  • 지원금 개요: 원금의 두 배를 만들어 주고 이자까지 얹어주는 희망두배 청년통장
  • 자격요건: 서울 거주, 만 18세 ~ 34세 이하, 최근 1년 안에 6개원 이상 근로했거나 재직 중, 소득금액이 세전 200만원 이하
  • 지원 혜택: 저축액 5만원, 10만원, 15만원 중 택 1/ 저축기간 2년, 3년 택 1(15만원 3년 시 540만원 내면 1,080만원 + 이자)

#3. 일하는 청년통장

  • 지원금 개요: 매달 10만원 씩 3년간 저축하면 약 1000만원 지급
  • 자격 요건: 경기도 거주(소상공인도 가능, 근무지가 경기도 일 경우 가능), 만 18세 ~ 34세 이하, 중위소득 100% 이하 가구
  • 지원 혜택: 저축액 5만원, 10만원, 15만원 중 택 1/ 저축기간 2년, 3년 택 1(15만원 3년 시 540만원 내면 1,080만원 + 이자)

#4. 청년희망 키움통장

  • 지원금개요: 생계급여수급 청년들을 위한 통장으로 목돈 마련에 도움
  • 자격 요건: 만 15세 ~ 34세 생계급여수급 대상자인 근로자 청년(올해 4월 부터 첫 시행)
  • 지원혜택: 3년 동안 매달 10만원 씩 (총 360만원) 적립하면 매달 30만원 씩 지원을 받아 1,500만원 목돈 마련

#5. 청년우대 청약통장

  • 지원금 개요: 기존 주택청약보다 이율이 최대 1.5% 높은 청년우대 금리를 제공하고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도 가능한 청약
  • 지원 대상: 만 19세 ~ 34세, 신고소득 3000만원 이하 이면서 소득이 있는 청년, 무주택 세대주
  • 지원 혜택: 기존 주택청약보다 이율이 약 1.5% 높은 우대, 2년 이상시 최대 3.3%(소득공제 혜택 0)

#6. 청년저축계좌

  • 지원금 개요: 월 10만원씩 저축하면 정부 근로 소득 장려금 30만원을 더해 매달 40만원씩 적립
  • 자격 요건: 만 15세 ~ 39세 차상위계층 청년, 일용직과 아르바이트도 가능, 타 정부 지원정책 수혜자는 중복 신청 불가
  • 지원혜택: 청년 저축계좌는 가입자가 월 10만원씩 3년 간 저축하면 정부 근로소즉 장려금 30만원을 더해 매달 40만원씩 적립

 

#7. 주거안정 월세대출

  • 지원금 개요: 월세부담으로 고민인 청년들에게 청년전용 주거안정 월세자금대출
  • 대출 한도: 매월 최대 40만원 씩 2년 간 총 960만원을 한도로 대출이 가능함(우대형 연 1.5% 금리)
  • 대출 기간: 최초 2년 ( 4회 연장, 최장 10년 이용가능)

#8. 청년구직 활동지원금

  • 지원금 개요: 스스로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에게 월 50만원씩 최대 6개월 간 지원을 해주는 정책
  • 지원 대상:  만 18세 ~ 34세, 졸업 및 중퇴 이후 2년이내 기간에 해당하는 자, 미취업자, 기준중위소득 120% 이하
  • 지원 혜택: 월 50만원씩 6개월 간 최대 300만원 지원, 취업 후 3개월 근속한 경우 현급 50만원 지원

#9. 청년취업 성공패키지

  • 지원금 개요: 종합 취업지원 프로그램 상담 - 능력개발 - 취업알선 3단계에 걸쳐 취업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
  • 지원 대상:  만 18세 ~ 34세, 학력무관, 취업상태 무관(단, 재직자의 경우 특이사항 있음 -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참고)
  • 지원 혜택: 패키지별로 훈련비와 참여수당이 있음( ex) 패키지 1 유형(2단계) 훈련비 300만원 지원)
728x90
반응형

댓글